경주시, 숙박관련 정책 기준도 없고 방향 더욱 더‘관광진흥 5개년 계획수립’ 계획에 머물지 않기를-경주의 관광정책은 지나친 행정규제에 얽매어 너무 소극적-새로운 관광 트렌드 대응에 나선다지만, 정책 일뿐이다.-“허가난 대상도 취소해버리는 어처구니 없다”는 업계의 원성경주시는 올해 9월까지 ‘경주관광객이 3,600만이 다녀갔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해 경주사회가 이슈가 되었다. 이는 ‘한국관광 데이터랩 분석 23년 1월부터 9월까지 3,592만 9,463명 경주를 방문했다는 데이터랩의 분석자료를 기초로 하여 발표했다.
또한 경주시는 지난 9월에 2천만 관광객이 찾는 글로벌 관광도시 구현을 위한 ‘관광진흥 5개년 계획수립’ 착수 보고회를 가졌으며, 경주만의 역사문화자원 활용, 국제회의 복합지구 선정에 따른 MICE 산업 활성화 등 주요정책 기틀 마련으로 2024년~2028년 관광정책 전략모색을 통해 새로운 관광 트렌드 대응에 나선다고 발표했다.하지만 현실은 문화 유적 중심의 스쳐 가는 관광과 보문관광단지에 편중되어 있는 MICE 산업의 활성화로는 2천만 관광객이 경주를 찾는다 한들 경주시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효과는 거의 없다는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몇 년전부터 도시재생과 원도심 부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통해 황리단길을 연계한 원도심 부활을 위해 시 정책은 해가 거듭 할수록 변하고 있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시민들은 체감 마저도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이라 비판의 목소리가 세어나오고 있다. 도심에서 관광객이 머무르지 않는다면 침체된 원도심을 살리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해 꼭 필요한 정책이 ‘로컬스테이’의 활성화라는 관광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전하고 있다. 보문단지와 불국사 주변으로 집중되어 있는 호텔, 리조트, 펜션, 유스호스텔 중심의 숙박으로는 관광객을 도심에 머무르게 할 수 없을 것이며, 도심에 적극적으로 주민들이 운영하는 민박업(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을 활성화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주민들이 운영하는 도심의 민박업에서 주민들과 소통하고 여행하는 문화, 새로운 관광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이 바로 ‘로컬스테이’ 문화이다. 이런 관광 소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경주의 관광정책은 지나친 행정규제에 얽매어 너무 소극적이라는 원성의 목소리도 세어나오고 있다. 실제 경주와 유사한 관광도시인 전주시는 159개, 강릉시는 81개의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이 등록되어 운영 중인 반면 경주시의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은 고작 43개만 등록되어 있을 뿐이다. 그마저도 행정의 지나친 규제와 단속으로 최근에는 2~3곳이 폐업을 했다. 이는 적극행정 보다는 원칙을 내세워 “허가난 대상도 행정 편의로 취소해버리는 어처구니 없다”는 업계의 원성이 여기저기 세어나오고 있다. 경주는 ‘관광진흥 5개년 계획수립’ 착수 보고회를 통해 28년까지 새로운 관광 트렌드를 대응 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해 시행 한다지만 일부 소극적인 행정을 통해 규제와 단속으로 일갈 해버린다면 2,000만의 관광객이 방문한다고 해도 주요 문화 유적과 컨벤션 시설 위주의 관광 생태계가 바뀌지 않는다면 도심의 침체는 가속화 될 뿐이다. 해당 관광켄벤션과 남광식팀장은“ 법의 기준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상부 기관의 질의를 통해 민원의 문제를 합리적 방향으로 제시하거나 불편함이 없게 처리해 경주를 찾는 관광객이 쾌적하게 이용 할수 있는 숙박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행정역시 적극행정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5만명 인구 수가 진작에 무너진 경주에서 코펜하겐처럼 관광객을 임시 경주시민으로 만드는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단 1시간이라도 경주를 찾는 외부인들에게 도심에 머무르고 주민들과 소통하며 주민들이 운영하는 민박집, 식당, 카페를 즐기고 마을을 해설하는 주민들과 함께 경주의 진짜 모습을 즐기는 ‘로컬스테이’야 말로 공정여행(Fair Travel)이고 경주관광이 새로운 트렌드를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일 것이다.